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
듀얼리티와 브렌인 듀얼리티 1980년대에 이론물리학자들은 끈이론이 하나로 결정되지 않고 다섯 개의 버전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각 이론에는 I형 끈이론 IIA형 끈이론 IIB형 끈이론 그리고 헤테로틱 -O형 끈이론과 헤테로틱-E형 끈이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구체적으로 파고 들어가면 각기 다른 이론이긴 하지만, 다섯 개 모두 진동하는 끈과 여분차원을 골자로 하고 있다 . 여러 해동안 끈이론 학잗르은 건드림 접근법을 기반으로 끈이론을 연구해왔다. I형 끈이론은 결합상수가 작다는 가정 하에 랄프와 앨리스가 복권 당첨확률을 계산했던 방식으로 다단계 계산법을 채용하고 있다. 헤테로틱-O를 포함한 나머지 이론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끈결합상수가 작다는 가정을 벗어나면 학자들은 어깨를 으쓱하며 계산을 포기할 수밖에..
이웃한 차원에서 우주를 날다 브렌인 다중우주와 주기적 다중우주 여러해 전 어느날 밤, 나는 콜럼비아대학교의 연구실에서 다음날 있을 1학년 학생들의 물리학 기말고사 문제를 출제하고 있었다. 그것은 주로 우등생을 대상으로 한 시험이었기 때문에 나는 좀 더 어려운 문제를 출제해서 학생들의 의욕을 돋우고 싶었더ㅏ. 그러나 밤이 너무 깊엇고 배까지 고팠던 나는 교과서에 있는 연습문제들을 조금씩 변형하여 문제지에 적어 넣고 서둘러 귀가 했다. 다음날 아침, 교탁앞에 앉아 시험을 감독하면서 내가 제출한 문제를 풀어보다가 깜짝 놀랐다.기존의 문제를 아주 조금 변형시켰을을 뿐인데 해법이 엄청나게 어려워졌던 것이다. 원래 문제는 답안지 반쪽이면 충분히 풀수 있었지만, 이 분제를 제대로 풀려면 여섯 쪽은 족히 써야 할 것 같았다. 사설이 좀 길어졌는데..